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ff
- APM 만들기
- nandtotetris
- 구문 분석
-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
- MySQL
- 도커
- 마운트
- 분산추적
- 밑바닥부터 만드는 컴퓨팅 시스템
- vm머신
- 운용 시 유용한 쿼리
- performance스키마
- jack 문법
- 텀블링 윈도우
- vm번역기
- 리눅스
- 스택머신
- InnoDB
- 시간 윈도우
- s3
- ec2
- 핵심 데이터 모델링
- 스트리밍 데이터 아키텍쳐
- Terraform
- 스트리밍 아키텍쳐
- 메모리 세그먼트
- 밑바닥부터 만드는 운영체제
- 핵기계어
- 컴퓨터 아키텍쳐
- Today
- Total
이것이 점프 투 공작소
AWS NAT gateway란? 본문
NAT이란? NetworkAddressTranslation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 중 일부만이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위와같은 구성을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대부분의 호스트에 PirvateIP를 할당하여 내부망에서만 사용하도록 하고, 특정 장치를 통과하면 PrivateIP가 PublicIP로 변환되어 해당 IP를 통해 인터넷과 통신하도록 구성합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장치를 NAT이라고 합니다.
PrivateIP에서 인터넷으로 요청을 보낼때 요청이 NAT에 도착하여 NAT라우터를 통과하게되면
Nat 라우터는 주소 변환 테이블에 가지고있던 PrivateIP를 PublicIP로 IP를 변환하여 요청을 보내고 변환 내용을 NAT변환 테이블에 기록합니다.
이후 인터넷으로 보낸 응답이 도착하면 기록해두었던 NAT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요청을 보낸 PrivateIP를 가진 호스트에게 응답을 반환합니다.
NAPT란?
네트워크에서는 여러 호스트가 고유한 PrivateIP를 할당받고, 인터넷으로 요청을 보낼 때 PublicIP로 변환을 위해 Nat를 통과할때 Nat 변환 테이블은 PrivateIP요청주소와 NAT을 통해 변환된 PublicIP변환된주소를 기록합니다.
PrivateIP는 Host마다 고유하지만 변환된 PublicIP는 네트워크의 대표 공인IP이기에 동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응답이 Nat으로 돌아올때 요청을 보낸 PrivateIP를 구분 하기 위해 변환 테이블의 PublicIP에 PrivateIP마다 각자 다른 port를 할당합니다.
이를 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NAPT라고 이야기합니다.
이 방법을 통해 여러 PrivateIP가 Nat를 통해 하나의 PublicIP로써 통신이 가능하게 됩니다.
AWS의 NAT gateway란?
NAT 게이트웨이는 AWS에서 제공하는 NATNetworkAddressTranslation,네트워크주소변환 서비스입니다.
NAT의 개념과 동일하게 프라이빗 서브넷의 인스턴스가 VPC 외부의 서비스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도록합니다.
즉 프라이빗 서브넷 내의 EC2를 인터넷이나 외부 AWS Service에 접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입니다.

- VPC 내의 Public Subnet 내에 생성해야합니다.
- 라우팅 테이블에 NAT gateway에 대한 라우팅을 추가 후 사용 가능합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에 MFAGoogle−Athenticator를 사용한 Bastian Host만들기 with Terraform 0 | 2022.11.12 |
---|---|
EC2에 EBS볼륨LVM 마운트하여 사용하기 0 | 2022.10.23 |
AWS ROUTE53 Rounting Policy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9.23 |
AWS RDS-Multi AZ와 Read-Replica 0 | 2022.09.11 |
AWS SNI 0 | 2022.09.11 |